[전남 광양] 전천후 언제든지 이용가능한 실내테니스장 "배울테니스 아카데미"
페이지 정보
작성자 Beck 작성일25-02-17 15:03 조회4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전남 전남실내테니스장 목포(木浦)시 기행]2024.11.11. 수정. 1. 개요 □ 지지 * 한때 전남 최고의 항구.* 1897년에 개항하여 교역, 물류, 교통의 중심지로서, 과거 전국 3대 항구, 6대 도시였음.* 지명 유래 : ;에 처음 언급. 나무가 많아 불리웠다 하고, 목화가 많이 난다고 불렸다는 설이 있으나, 서해에서 육지로 들어가는 길목이라 하여 목포(항포項浦)라는 설이 가장 유력함.* 목포항 앞에 삼호반도(三湖半島)·화원반도(花源半島)·고하도·달리도·눌도·압해도(押海島) 등이 내부 방파제 구실을 하고, 넓게는 진도(珍島)·하의도(荷衣島)·장산도(長山島)·암태도(巖泰島)·자은도(慈恩島)·지도(智島) 등이 외부 방파제 구실을 함.* 일본 나가사키[長崎]와 중국 상하이[上海]의 중간에 위치하여 19세기 말부터 열강제국의 주목을 받았던 항구도시. ○ 면적 : 51.62km². 전남에서 제일, 전국에서 다섯 번째 좁은 면적.○ 행정구분 : 23 행정동 (64 법정동)○ 꽃/백목련, 나무/비파, 새/학○ 인구(명) : 222,809 (2021.02) → 215,253 (2023.05) → 212,144 (2024.07) □ 축제 ○ 유달산 봄축제 : 4월. 유달산/로데오거리 일원.○ 해양문화축제 : 7월말 ~ 8월초.○ 세계마당페스티벌 : 8~9월. 목포근대역사문화공간 일원.○ 목포문화재야행 : 9월. 목포근대역사문화공간 일원.○ 난영가요제 : 9월. 목포문화예술회관.○ 목포가을페스티벌 : 9~10월경. 원도심권, 평화광장, 노을공원 등.○ 목포항구축제 : 10월. 목포항, 삼학도 일원. □ 장날 : 상설시장. □ 옥장(玉匠) : 국가무형문화유산* 기능보유자 : 장주원(張周元). 세계적으로 탁월한 옥공예 기능 보유.* 투각기법에 능하며, 향로·주전자 등을 섬세하게 조각하고, 연속된 고리를 깎는 특기를 보유함. 옥공예의 종주국으로 알려진 중국의 기술과 작품성을 능가하여 '신장(神匠)'이라 부름.* 옥을 가공할 때는 원석을 채석한 뒤, 자외선 등에 의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황토흙을 넣은 가마니에 싸서 일정 온도로 열처리를 하고, 명주실로 된 실톱으로 자른 다음, 발틀이나 물레를 사용해 '촉'을 이용한 활비빔으로 가공하며, 마지막으로 양은이나 철에 슨 녹으로 광을 내어 마무리함. □ 목포9경 ○ 유달산○ 목포대교 일몰○ 갓바위○ 춤추는 바다분수○ 노적봉○ 목포진○ 삼학도 이난영공원○ 다도해전경○ 슬로시티섬 외달도 2. 문화 유적 □ 전통사찰/종교유적○ 달성사(達聖寺) : 유달산. 대흥사 말사.* 달성사 저녁 종소리 : 목포9경. (사찰 안내판)* 1913년 노대련(盧大蓮) 선사가 창건.*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 보물. 조선. 명부전. 1565년 전남 나주에서 조성된 지장보살 삼존상 및 시왕과 판관, 사자를 포함한 전체 19구의 불교 조각 일괄. 임진왜란 이전에 조성된 불상 조각 가운데 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이 모두 남아 있는 유일한 작품.* 극락보전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 17세기 후반의 보기 드문 귀중한 자료. 1678년(숙종4) 전남 강진 만덕산(萬德山:408m) 백련사(白蓮寺)에서 조성하였다는 발원문(14×25㎝)이 필사본이 전함. 아미타불을 주불로 좌우로 대세지보살과 관세음보살을 모심.* 범종 : 1786년(정조10) 때 주조.* 극락보전, 명부전, 백목당, 범종각, 삼성각, 요사채로 구성.* 옥정(玉井) : 삼성각 아래. 노대련 선사가 불전에 감로수로 사용하기 위하여 1923년 만든 샘물. 깊이가 제법 있음. 가뭄에도 마르지 않는다고 함.* 창건주노대련선사창공비 : 옥정 옆.* 입구에 있는 특이하게 생긴 나무아미타불 삼층석탑. * 극락보전 앞에 서면 목포 시내 전체를 조망할 수 있음. * 달성공원 주차장에 주차하고 유달산 둘레길을 따라 달성사에 갈 수 있으며, 달성공원 주차장에서 노적봉 방향으로 조금 내려오면 오르는 계단숲길로 오르는 길이 있음. 숲길 좌우로 체육공원을 조성하여 쉬어가기 좋음.* 화장실 : 백목당 옆 둘레길로 나가는 길목.* 목포시 죽교동 317. . ○ 보광사 : 유달산.* 달성사 옆. 달성공원 주차장 위.* 1928년 운계화상이 중건.* 대웅전 안에 석가여래좌상과 짓샘이 있음.* 석가여래좌상 : 바위 줄기에 불상을 조성. 처음엔 불상만 있었다가 후에 사찰을 조상한 것으로 추정.* 짓샘 : 석가여래좌상 밑에 물이 고여 생겨난 샘으로 병고에 효험이 있다고 함.* 샌드위치 패널로 지은 영철지붕 전각.* 목포시 죽교동 280. . ○ 해봉사(海峰寺) : 유달산. 법화종.* 전각과 오층석탑.* 절 뒤 바위 위에 정자가 있음.* 아래에 성옥기념관이 전남실내테니스장 있음.* 목포시 온금동 산 1. . ○ 양동(陽洞)교회 : 1910년. 석조건축물.* 목포에서 처음 세워진 교회.* 목포시 양동 127. . □ 목포진/목포진역사공원★ : 목포9경.* 조선시대 수군의 진영으로 목포영/목포대라고 불렀으며, 만호(萬戶)가 배치되었다고 하여 만호영/만호진/만호청이라고 부르기도 함.* 목포는 영산강 하구에 있어 바다로 연결하는 지리적인 요충지이며, 경상남부지역으로 통하는 세곡 운반로의 길목에 위치함.* 1502년(연산군8)에 성의 모습을 갖추었으며 1895년(고종2)에 폐진되었음.* 페진 직후인 개항 당시에 청사의 일부가 남아 있어 무안감리서, 일본영사관 등으로 사용되다 훼손되어 목포진유적비만 남은 것을 2014년에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함.* 목포진역사공원 내삼문* 목포진역사공원 객사* 수군 임무교대식, 수군 무예시범공연 등 시연.* 목포시 만호동 1-72. .* 주차장 : 목포시 만호동 1-47. □ 유달산 권역 ○ 목포근대역사관 1관 : 구 일본영사관.* 목포 최초의 서구적 근대 건축물로 앞에 평화의 소녀상이 있음.* 09:00~18:00. 월요일 휴무. 유료 입장.* 목포시 대의동2가 1-5. (영산로 29번길 6). * . ○ 목포근대역사관 2관 : 구 동양척식주식회사.* 09:00~18:00. 월요일 휴무. 유료 입장.* 목포시 중앙동2가 6. (번화로 18). * . ○ 목포진역사공원 : 목포9경.* 조선시대 수군의 진영으로 일제강점기에 사라진 군사기지를 역사공원으로 복원.* 목포시만호동 1-33. (목포진길 11번길 1-5). . . ○ 성옥기념관* 조선내화 창업자인 성옥 이훈동이 건립.* 윤두서, 김정희, 대원군 서화 보관.* 이훈동정원 : 일본식 정원.* 목포시 유달동 4-2. (영산로 11). * . ○ 유달산공원○ 달성공원○ 유달산조각공원 ○ 난전시관* 철골유리조 전시관으로 춘란, 풍란, 한국란, 동양란(중국·대만·일본) 전시.* 한국란 38종, 동양란 120종, 양란 94종 등 256종 1,300여 그루 전시.* 매년 3월 야생란전시회 개최.* 달성공원 주차장에 붙어 있음.* 바로 옆에 유달산목재문화체험장이 있음.* 09:00-17:00. 연중 무휴. 주차 가능.* 목포시 죽교동 300. . ○ 유달산목재문화체험장* 유료 체험. 체험비용은 싼 편, 재료비 별도.* 09:00-18:00. 월요일 휴관. 주차 가능.* 목포시 죽교동 260-1. . ○ 특정자생식물원 : 철골유리조 전시관.* 희귀·멸종 우려 자생식물을 보존·증식·보급하기 위하여 조성.* 09:00-18:00. 연중 무휴.* 달성공원 주차장 위. 유달산 둘레길.* 목표시 죽교동 267-3. . ○ 유달산 철거민탑* 유달산 공원화사업의 일환으로 공원 내 588 세대의 초가집을 철거하면서 이를 기억하기 위하여 철거가옥의 돌들을 리용하여 1979년 12월에 세운 2기의 탑.* 유달산 보광사 입구.* 특정자생식물원 옆. ○ 연희네슈퍼 / 시화골목(시화마을)* 영화 ;에서 대학생 신입생 연희가 살던 슈퍼.* 벽에 시화를 그려 넣어 볼거리가 있는 전통마을로 어부들의 주거지였다고 함.* 목포시 서산동 12-89.* . ○ 목포해상케이블카★★* 국내 최장 3.23km의 해상케이블카.* 북항승강장 ~ 유달산승강장 ~ 목포155타원 ~ 고하도 승강장.* 목포시 해양대학로 240. . □ 갓바위 권역 ○ 갓바위 / 해상보행교★ : 천연기념물. 목포9경.* 두 사람이 나란히 갓을 쓰고 서 있는 모습의 바위.* 8천만 년 전 화산재가 굳어진 응결응회암.* 갓바위를 볼 수 있도록 바다 위 보행교 설치.* 동절기 05:00-23:00. 하절기 05:00-24:00. 태풍, 호우, 폭설, 안개 등 기상 악화 시 출입 통제)* 목포시 용해동 6-14, 상동 1151. * 달맞이공원 주차장 이용 : 상동 1181. 상동 1119-2. 용해동 1037-1.* . ◇ 달맞이공원* 갓바위 입구에 있는 작은 공원.* 목포시 상동 1119-2. ○ 평화광장* 공유 수면이었던 지역을 1994년 2월부터 2001년 7월까지 총 7년 5개월여 동안 매립하여 조성한 공원. * 면적 2만 1,207㎡. 공원 주변으로 2만 642주의 조경수와 야외무대, 조형물, 산책로 조성. * 처음 공원의 이름은 미관광장이었으나 김대중 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수상을 기념하여 2001년 공원의 이름을 평화광장으로 개칭함. * 공원 중심에 춤추는 바다분수가 있어 일정 기간 동안 영상쇼와 레이져쇼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분수쇼가 .펼쳐짐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많고, 양편으로 정원이 전남실내테니스장 조성되어 있음.* 카약, 패들보드, 래프팅보트, 제트보트, 바나나보트, 제트스키 등 운영.* 평화광장 인근에 맛집, 카페 등이 많고 해변가 산책길이 잘 조성되어 있음.* 목포시 상동 1157. .* 공영주차장 : 목포시 상동 1181-3.* 제1공영주차장 : 목포시 옥암동 1100. ◇ 춤추는 바다분수★ : 목포9경.* 초대형 부유식 음악분수로 수반 길이 150m, 13.5m, 최대 분사 높이 70m.* 워터스크린에 신청한 사연을 보여주며, 신청한 음악과 레이져쇼 등 시연.* 4월~11월 운영. 공연시간 20분.* 봄/가을(4,5,9,10,11월) : 평일 2회, 금/토 3회.* 여름(6,7,8월) : 3회 (월요일 휴무)* 목포시 상동 1157. . ○ 목포자연사박물관* 46억년 지구의 신비를 간직한 3만 6,000점.* 세계에서 두 점 뿐인 공룡화석 프레노케랍토스와 신안군 압해도에서 발굴해 복원한 세계적인 규모의 육식공룡 알 둥지 화석 전시.* 자연사박물관 입장권으로 문예역사관, 생활도자박물관 관람 가능.* 09:00~18:00. 월요일 휴무.* 목포시 용해동 9-28. . ○ 목포문예역사관* 1983년 목포향토문화관으로 개관, 1998년 자연사문예박물관, 2004년 문예역사관이 됨.* 화훼전시실, 문예역사실, 수석전시실, 오승우작품관, 운림산방 4대작품실 등.* 남농 허건이 기증한 수석과 작품 전시.* 서양화가 오지호 화백의 장남이자 서양화가인 오승우 작품 전시. 무안에 오승우 미술관이 있음.* 건물 앞 전경이 뛰어나며 뒤편 연못 등 산책공간이 있음.* 09:00-19:00. 월요일 휴관. 주차 가능.* 목포시 용해동 7-8. . ○ 목포생활도자박물관* 2003년 11월 착공하여 2006년 8월 4일 한국산업도자전시관으로 개관, 2008년 2월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함.* 1층에 어린이체험실·옹이공방·도자자료실, 2층에 상설전시실·기획전시실·뮤지엄샵·전망대 등이 있음.* 09:00-18:00. 월요일 휴관. 주차 가능.* 목포시 용해동 9-1. . ○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구 국립해양유물전시관.* 바다 속에 잠겨 있는 수중 문화유산을 발굴하여 전시하는 수중고고학박물관이자 해양문화체험 등 종합적인 해양문화전시관.* 09:00-18:00. 월요일 휴무. 주차 가능.* 목포시 용해동 8. * . ○ 남농(南農)기념관* 소치 허유, 미산 허영, 남농 허건에 이르는 운림산방 3대의 작품 전시.* 14:00~18:00. 월, 화요일 휴관.* 목포시 용해동 9-36. . ○ 목포문학관* 연극인 김우진, 소설가 박화성, 희곡작가 차범석, 문학평론가 김현의 문학세계 전시.* 09:00-18:00. 월요일, 1월1일. 주차 가능.* 목포시 용해동 11-28. . ○ 목포 향토문화관* 도자기, 수석, 화폐, 산호, 꽃돌·꽃조개류, 운림산방 3대의 작품 등 전시.* 목포시 용해동 7-8. □ 삼학도 권역 ○ 김대중노벨평화상기념관* 09:00~18:00. 월요일 휴관.* 목포시 삼학로 92번길 68. .○ 목포어린이바다과학관* 09:00~18:00. 월요일 휴관.* 목포시 삼학로 92번길 98. . ○ 삼학도 이난영공원 : 목포9경.* '목포의눈물'을 부른 가수 이난영(본명 이옥례, 1916-1965)을 기념하는 공원.* 노래비, 이난영수목장.* 목포시 삼학로 92번길. . □ 고하도(高下島) 권역○ 고하도 이충무공 유적 : 조선.*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1597년(선조30) 10월에서 1598년 3월까지 108일 동안 군량미를 비축하고 전력을 재정비하던 곳.* 모충각. 이충무공기념비.* 목포시 달동 230. ○ 고하도 이충무공기념비 : 조선.* 1722년(경종2) 충무공의 5대손인 통제사 이봉상이 완성. 비문 남구만, 글씨 조태기.* 목포시 목포시 고하도길 175 (달동). ○ 육지면 발상지* 1904년 처음으로 육지면 재배에 성공하여 전국으로 보급한 곳. 조선육지면발상지비.* 일제강점기 1흑 3백(김, 쌀, 소금, 면화)의 대표적인 수탈지역.* 목포시 고하도길 153. ○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호남권 및 도서지역 연안생물자원 연구를 위해 설립.* 연구관, 상설홍보관, 다도해 자생식물원, 염생식물원 등.* 09:30-17:30. 월요일 휴무. 주차가능.* 목포시 달동 890. . * . ○ 고하도 전망대 / 해안데크* 판옥선 모형을 격자로 쌓아올린 6층 규모의 전망대. 층층이 전시관을 조성함.* 목포시 고하도안길 234. . □ 창성장 : 게스트하우스.* 문화유산거리 옛 여인숙 개조. 골목 안.* 국회의원 손혜원이 소유하여 한때 투기로 논란이 되었으나, 일대가 퇴락한 지역으로 투자 가치가 없는 곳을 개조하여 명소로 만들었음.* 주인이 없는 무인 게스트하우스 방식으로 운영. 창성장 블로그에 들어가서 원하는 날짜의 전남실내테니스장 빈방을 확인 후 댓글 또는 카카오톡으로 문의하고, 안내에 따라 입금하면 됨.* 목포시 대의동1가 5-3. .3. 자연 경관 □ 목포의 섬 : 북 → 남○ 율도(栗島) : 눌도(訥島)라고도 함.* 면적 2.54km², 해안선 길이 10.5km.* 최고점 : 눌도봉(104.2m)* 조선시대 유배지였음. 귀양 온 선비들이 울적한 마음에 말을 하지 않고 오랫동안 살다가 보니 언어가 어눌해져 눌도로 불림.* 1590년경 최씨가 처음 들어와 살았다고 함.* 율도선착장 : 남단에 위치. 외달도, 달리도 행 도선 운항.* 작은 방파제 선착장이 동쪽으로 네 개 있음.* 떡바위 : 동쪽에 돌출된 바위해안.* 지주식 김양식.* 주변에 무인도인 맥도(남서쪽)와 우도(남동쪽)가 있음.* 목포시 율도동. ◇ 율도해수욕장* 율도 서쪽에 있는 작은 해수욕장.* 별다른 편의시설이 없음.* 율도오토캠핑장* 목포시 율도동 181. ◇ 백로서식지* 율도해수욕장 북쪽.* 목포시 율도동 597. ○ 장좌도(高下島) : 장도(長島)라고도 부름.* 율도 남동쪽에 남북으로 길에 위치한 섬.* 면적 0.292km², 해안선 4.1km.* 삼국시대 백제의 어떤 장군이 살다 죽은 곳으로, 섬의 형태가 남북으로 양팔을 길게 벌리고 있는 형상이라 하여 장좌도라 불림.* 장좌도 선착장이 있으나 정기 여객선이 없음.* 목포시 율도동 ○ 달리도(達里島) : 120만평. * 율도 남쪽에 있는 섬.* 면적 3.995km², 해안선 길이 11.8km.* 섬 모양이 반달과 같다 하여 달동이라고 불리다 달리도로 바뀌었다고 함.* 목포항 입구에 자리잡고 있어 고하도와 함께 목포의 서남풍을 막아 주는 방파제 역할을 하는 섬으로 유인도 6개 가운데 면적이 크고 인구가 많은 섬.* 약 7백년 전에 청주 한씨가 처음 들어와 살다가 떠나고 그 후 영양 천씨, 김해 김씨, 광산 이씨, 전주 이씨 등이 들어와 마을을 형성하였음.* 염전, 힐링숲길, 아리랑길, 달리등대, 전망대.* 사재산(139m), 금성산(139m).* 달리도 선착장 : 동쪽에 있으며 목포항, 율도 행 차도선 운항.* 달리도캠핑장 : 서남쪽.* 주변에 무인도인 소두랑도, 쪽박섬(뭍으로 연결)이 있음.* 목포시 달동. ○ 외달도★★ : 면적 15만평. 목포9경.* 달리도 서쪽에 있는 섬.* 슬로시티 섬. 100대 아름다운 섬.* 외롭게 떨어져 있어 외로운 달동네라는 뜻을 지님. ;라고도 함.* 전국 최대 규모의 해수풀장, 해수욕장, 해변둘레길, 조개잡이체험, 한옥민박 등.* 숙박은 예약 필수. 현금지급기 없음. 신용카드 사용 불가. 전 지역 와이파이 가능.* 목포 연안여객터미널에서 외달도여객선착장까지 07:00부터 4회 운항. 신진해운(061- 244-0522). ◇ 외달도유원지 : 외달도해수풀장* 외달도 선착장에서 마을에 이르는 구간.* 개장 시기 : 7월1일~8월20일 경까지.* 09:00-18:00. 유료.* 목포시 달동 1267. . ◇ 외달도해수욕장* 서쪽 해변에 위치.* 고운 모래 백사장과 건너편 조그마한 별섬이 인상적인 아름다운 해수욕장.* 목포시 달동 산 150-6. . ○ 고하도(高下島)* 유달산 밑에 있어 명명. 목포항 방파제 역할.* 면적 2.997km², 해안선 15.2km.* 용모양을 하고 있어 용섬이라 불림. 고하도(孤霞島), 고화도(高和島), 보화도(寶和島), 비하도(悲霞島) 등 여러 이름으로 불렸음.* 북쪽은 목포대교, 남쪽은 삼호중공업 아파트 옆 연육교로 이어져 뭍으로 바뀐 섬.* 목화정원 : 1904년 국내 최초로 육지면(목화의 일종으로 미국의 조숙종)을 재배하여 전국에 보급한 곳. 목포시 달동 1332-1.* 남쪽에 무인도인 노동도가 있음.* 목포신항만 공단* 신외항 : 남쪽에 있는 한라시멘트 전용 항구. 목포시 달동 1355. ○ 다도해전경★ : 목포9경.* 유달산에서 바라보는 고하도, 외달도의 경치. □ 명산 ○ 유달산(儒達山)★★ : 228m. 목포9경.* 유달동 ·대반동(大盤洞)·온금동(溫錦洞)·북교동(北橋洞)에 걸쳐 있고, 유달산 동쪽 기슭을 중심으로 목포시가 자리 잡고 있음. 목포시와 다도해 조망 명소.* 산은 낮으나 산정이 매우 날카롭고 층층기암과 절벽이 많아 경치가 수려함.* 다른 이름은 ;으로 영혼이 거쳐 가는 곳이라는 의미임.* 일등바위 : 영혼을 심판 받는 바위.* 이등바위 : 심판 받은 영혼이 대기하고 있다가 극락세계로 간다는 바위.* 이순신 동상, 오포대, 노적봉예술공원 전남실내테니스장 미술관, 낙조대, 어민동산, 특정자생식물원, 목포도로원표.* 누정 : 대학루, 달성각, 유선각, 소요정 등.* 부동명왕상(不動明王像)/홍법대사상 : 일제 시대 일본인들이 일등바위에 새긴 상. 일제 때 유달산 입구부터 일등봉, 이등봉 일대에 불상 88기를 세웠으며, 해방 후 대부분 파괴되었음.* 유달사, 수도사, 관음사. ◇ 노적봉(露積峯) : 목포9경. 해발 60m.*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노적봉을 짚과 섶으로 둘러 군량미가 산더미같이 쌓인 것처럼 보이도록 위장하였다고 함.* 주차장(10대) : 목포시 대의동2가 1-120.* 넓은 주차장 : 목포시 측후동 4.* . ◻ 노적봉예술공원미술관 : 노적봉 옆.* 09:00-18:00. 월요일 휴관.* 목포시 유달동 1-1. ◇ 유달산 일주도로* 2.7km. 목포 시가지와 다도해 전경. ◇ 유달산공원* 유달산기념비* 사월혁면학생기념비* 유달산장* 목포시 죽교동 400-3. . ◇ 달성공원* 유달산 해상케이블카 타러 가는 길목 유달산 중턱에 위치. 주차장을 중심으로 일대가 달성공원임.* 유달산공원 관리사무소 옥상에 전망대를 설치하여 아무나 즐길 수 있음.* 노적봉 방향으로 조금 내려가면 유달산공원이라 부르는 체육공원이 있음. 달성사 가는 오르막 계단을 따라 좌우로 운동시설이 있으며, 곳곳에 벤치와 테이블의자가 있어 가족 단위로 쉬어가거나 도시락을 먹기 좋음.* 달성사, 보광사, 해봉사.* 유포주차장 : 목포시 죽교동 269-7. ◻ 유달산목재문화체험장◻ 유달산 난전시관◻ 특정자생식물원 : 난전시관 위.◻ 철거민탑 : 식물원 옆. ◻ 유달산조각공원 : 야외전시.* 유달산 자락 이등바위 아래 위치.* 한국조각연구회 회원 44명의 작품 104점이 전시되어 있으며, 조각작품 주변에 희귀수목을 비롯하여 은행나무·벚나무 등의 관상수가 심어져 있음.* 휴게소와 파고라 3동, 분수대, 야외음악당 등이 있고 조각공원 조성 이전에 이곳에 있던 초가 한 채와 관음사가 있음. ◇ 목포시사(木浦詩社)* 유달산(儒達山) 정문에서 조각공원 쪽으로 약 2㎞ 거리에 위치. * 1890년에 하정 여규형(呂圭亨:1849~1922) 등이 건립하여 유산정이라 부르며 문인들에게 시문을 가르치고 백일장 등을 주도하던 곳으로, 1920년에 무정 정만조(鄭萬朝:1858~1936)가 재확장하여 유산사로 개명하고, 1932년에 중수하였으며, 1937년 목포시사를 발족하였음. ○ 양을산(陽乙山) : 151m.* 목포시 이로동, 용당동, 상동에 걸친 산. * 1961~1972년 제주도로 무선송신을 보내던 중계탑 덕분에 정상까지 자동차 길 조성. ◇ 양을산 삼림욕장* 제1저수지 옆에 위치. 두꺼비 서식지.* 태을계곡* 선녀수전망대* 옆에 목포실내체육관, 테니스장 등 페육시설이 있음.* 목포시 상동 산 34-3. ○ 입암산(笠巖山) : 122m.* 목포시 용해동에 있는 산.* 바위로 이루어진 산으로 멀리서 바라보면 사람이 삿갓을 쓰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하여 입암산이라고 부름.* 산 정상 바위에 정자가 있음.* 동쪽 산자락에 갓바위 근린공원이 있음.* 갓바위로 이어지는 능선 끝 갓바위 뒤에 낮은 언덕이 있으며, 갓바위 데크길에서 조금 오르면 전망대가 있고, 산책길이 있음. 달맞이공원 주차장에서 갓바위 입구인 준짱어멍뜰에서 바로 올라가는 길과 갓바위를 지나 오르는 길이 있음. 언덕 위 전망대에서 목포 앞바다를 조망할 수 있음.□ 항구/포구/선착장 : 북 → 남 ○ 북항선착장* 압해도, 팔금도, 수치도, 도초도 도선 운항.* 선착장 주변으로 많은 횟집이 줄지어 있음.* 목포북항씨푸드타운* 목포해양수산복합센터* 목포시 죽교동 620-232. ○ 목포항 : 1종항.* 본항(本港)과 북항(北港)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항만법상 1종항임. * 1897년(고종31) 10월 16일 상항(商港)으로 개항 이래 호남지역의 관문구실을 해왔음. * 부산항과 함께 제주도를 연결하는 해상교통의 요지인 동시에 주요한 무역항임. * 항구 주위에 섬이 많고 남동쪽에 반암반도(盤巖半島)의 돌출부와 남서쪽에 가로놓인 고하도(高下島)가 자연방파제 구실을 함.* 목포선착장* 목포연안여객선터미널 : 제주도, 만재도, 달리도, 도초도, 벽파항, 안좌도(읍동), 안좌도(금산), 시하도, 장산도, 하의도, 암태도 행 도선 운항. 1666-0910.* 목포항국제여객선터미널* 목포시 항동 6-10. ○ 목포외항부두* 삼학도 김대중 노벨평화상기념관 앞.* 목포시 산정동 1483-3. ○ 삼학부두여객선터미널 : 목포외항부두 옆.* 삼학도 난영공원 앞.* 제주행 페리 운항.* 목포시 산정동 1484-6. ○ 목포남항* 목포시 산정동 1832. ○ 율도 선착장 : 율도 전남실내테니스장 남쪽.* 목포시 율도동 473-15. ○ 장자도 선착장 : 장자도 북서쪽.* 목포시 율도동 산 11-32. ○ 고하도 선착장 : 고하도 동쪽.* 목포시 달동 779-2. ○ 고하도 신외항 : 고하도 서남쪽. * 한라시멘트 전용부두.* 목포시 달동 1355. □ 해수욕장 : 북 → 남 ○ 유달해수욕장 : 유달유원지* 해변에 스카이워크 조성. 신안비치호텔 북쪽.* 목포시 죽교동 465-142. ○ 율도해수욕장 : 율도 서편 작은 해수욕장.* 별다른 편의시설이 없음.* 율도오토캠핑장* 목포시 율도동 181. □ 공원 ○ 북항 노을공원* 목포해양경찰서 앞.* 수변데크, 노을광장, 이벤트광장, 녹지 및 산책로, 바닥분수.* 목포시 산정동 1110-8. ◇ 목포해양수산복합센터 * 활어 경매, 활어 판매.* 목포시 산정동 1110-4. . ○ 목포진역사공원* 내삼문, 객사. ○ 달성공원○ 유달산공원○ 유달산조각공원 ○ 삼학도공원 : 중삼학도○ 난영공원 : 대삼학도○ 경북화합의숲 : 대삼학도 ○ 갓바위근린공원 : 입암산○ 달맞이공원 : 갓바위 주차장○ 평화공원 ○ 목포옥암수변생태공원* 목포시 옥암동 1396. ▢ 무안반도(務安半島)* 전남 해안 남북방향으로 뻗은 직사각형의 반도.* 북쪽은 함평만(咸平灣), 남동쪽과 남쪽은 남해만(南海灣:현재의 영산호)·영암만(靈岩灣), 서쪽은 다도해에 둘러싸여 있음. * 반도 앞바다의 여러 섬들과 더불어 노령산맥이 형성한 반도로, 해안선 굴곡이 매우 복잡하여, 반도 중앙 북서쪽에는 해제(海際)반도 ·망운(望雲)반도가 길게 돌출함. * 반도의 거의 전역이 무안군에 속하고, 남단부에 목포시가 있음. □ 목포대교 일몰 : 목포9경.* 총 연장 4,129m의 왕복 4차선 대교.* 고하도 용머리길에서 낙조 조망. □ 목포요트마리나* 목포시 신정동 1452. . □ 목포해상케이블카* 목포 원도심과 북항, 유달산은 물론 고하도를 비롯한 다도해의 아름다운 풍경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명소. * 유달산의 지형적 특성과 우수한 경관을 고려하여 원도심과 다도해상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국내 최장 3.23km, 국내 최고 높이 155m임.* 09:00-19:00. 연중 무휴. 주차 가능.* 북항승강장 : 목포시 죽교동 516-101. 061- 244-2600.* 유달산 승강장 : 북항에서 출발하면 내리거나 탈 수 없으며, 고하도에서 출방하는 경우만 타고 내릴 수 있음. 유달산 산행을 하고 돌아와 탑승할 수 있음.* 고하도 승강장 : 목포시 달동 산 191-3.4. 특산물과 향토음식 ■ 특산물 ○ 지주식 김○ 홍어○ 세발낙지○ 민어 ■ 목포9미 ○ 1미 : 세발낙지○ 2미 : 홍어삼합○ 3미 : 민어회 : 여름철 별미○ 4미 : 꽃게무침○ 5미 : 갈치조림 : 9~10월. 갈치가 산란기에 들어가 맛이 있음. 감자, 호박, 고구마순을 듬뿍 넣은 갈치조림.○ 6미 : 병어회(찜)○ 7미 : 준치무침○ 8미 : 아구탕(찜)○ 9미 : 우럭간국 ■ 노포/맛집 □ 홍어 : 목포9미. ○ 금메달식당★★ : 홍어.* 목포를 대표하는 홍어 명가. 홍어 단일 메뉴.* 홍어삼합, 홍어찜, 홍어초무침, 홍어풀코스.* 10:00~22:00. 연중 무휴. 주차 가능.* 목포시 용당1동 946-37. . ○ 덕인집★★ : 홍어.* 금메달식당과 쌍벽을 이루나 가격은 절반인 서민적인 주점.* 홍어삼합, 홍어찜, 홍어애탕, 꽃게무침, 고래고기, 민어찜, 가오리찜, 육전, 석화전, 은학상어, 강달이.* 12:00~24:00. 명절 휴무. 주차 가능.* 목포시 무안동 4-5. . ○ 인동주마을 : 게장, 홍어.* 홍어삼합, 꽃게장백반, 가오리찜, 인동주.* 10:00~22:00. 연중 무휴. 주차 가능.* 목포시 옥암동 1041-7. .□ 낙지 : 목포9미. ○ 독천식당★ : 낙지. 30년 업력. * 갈낙탕, 연포탕, 낙지비빔밥, 산낙지, 낙지무침, 낙지볶음, 낙지구이, 세발낙지.* 09:30~21:30. 명절 휴무. 주차 가능.* 목포시 호남동 10-36. . ○ 뚱보횟집 : 낙지.* 세발낙지, 뻘낙지, 연포탕.* 09:00~22:00. 연중 무휴. 주차 가능.* 목포시 죽교동 620-175. . ○ 신별미정 : 낙지.* 세발낙지, 낙지초무침, 낙지연포탕.* 11:00~21:00. 연중 무휴. 주차 가능.* 목포시 상동 870-2. . □ 민어 : 목포9미. ○ 영란횟집★★ : 민어.* 30년 업력 민어 전남실내테니스장 전문. 민어거리의 원조.* 민어회/무침, 농어/광어/돔, 뻘낙지, 매운탕.* 09:00~22:00. 명절 휴무. 주차 가능.* 목포시 중앙동1가 1. . ○ 포도원횟집 : 민어철엔 민어만 취급* 민어회/매운탕.* 09:00~22:00. 연중 무휴. 주차 가능.* 목포시 중앙동1가 2-6. . ○ 삼화횟집★ : 영란횟집과 쌍벽.* 민어회, 민어매운탕, 모둠회.* 10:00~22:00. 연중 무휴. 주차 가능.* 목포시 중앙동1가 4-2. . ○ 중앙횟집 : 민어.* 생선회, 민어초무침/전/찜/간국/정식.* 10:00~22:00. 연중 무휴. 주차 가능.* 목포시 만호동 1-65. . ○ 만호유달횟집 : 민어.* 40년 전통의 민어전문점. * 민어회, 농어회, 민어전, 민어회정식.* 10:30-21:00. 연중 무휴. 주차 가능.* 목포시 만호동 1-1. 05.○ 쉼터식당 : 민어/해물.* 민어회/복어/병어회, 참복찜/탕, 쫄복탕, 우럭탕, 우럭찜, 장어탕/찜, 깡다리찜, 갈치찜, 아귀수육/탕, 꽃게무침, 낙지연포/탕탕이.* 주차 가능.* 목호시 산정동 1408-2. . □ 꽃게 : 목포9미. ○ 인동주마을 : 인동초꽃게장, 홍어* 목포음식장인 1호. 인동초를 이용하여 만든 인동초막걸리/평화주/꽃게장이 유명함.* 인동주마을정식, 홍어삼합, 간장꽃게장정식, 돼지고기, 인동초막걸리.* 10:00-22:00. 주차 가능.* 목포시 옥암동 1041-7. . ○ 장터식당 : 꽃게무침.* 꽃게무침, 꽃게살, 준치, 간자미, 꽃게탕.* 11:00~21:30. 첫째 주 일요일, 셋째 주 월요일 휴무. 주차 가능.* 목포시 금동1가 1-17. .* 창성장 인근. ○ 초원음식점★ : 꽃게무침, 갈치구이/조림* 갈치찜, 갈치구이, 꽃게무침덮밥, 조기매운탕, 조기구이, 서대매운탕, 서대찜, 병어찜* 2인분 이상 주문* 09:00~21:30. 비정기적 휴무. 주차 가능* 목포시 대의동2가4-4. . □ 갈치 : 갈치찜/구이. 목포9미. ○ 선미식당 : 갈치찜. 목포9미.* 수요미식회(갈치찜/갈치구이)★* 갈치찜/구이, 서대찜/구이.* 11:00-21:00. BT 14:00-17:00. 첫째, 셋째 일요일 휴무.* 목포시 산정동 1357-18. . ○ 명인집 : 갈치찜/꽃게무침. 목포9미.* 먹갈치조림/구이, 고등어구이, 생물삼치구이, 메로구이, 생대구탕, LA갈비구이, 전복장, 오징어볶음, 간장게장, 목포뻘낙지볶음. 한우소고기+낙지탕탕이+전복장, 한상차림(A/B/C).* 11:00-22:00.BT 16:00-17:00. 화요일 휴무. 주차 가능.* 목포시 상동 973-8. 05. □ 병어/준치 : 목포9미. ○ 선창횟집 : 병어, 준치만 전문★* 5월이 준치철.* 준치, 병어회, 병어찜.* 11:00~20:00. 일요일 휴무. 주차 가능.* . 목포시 금동2가 7-3. ○ 별미식당 : 준치회비빔밥, 준치회무침.* 09:00~21:30. 연중 무휴. 주차 가능.* 목포시 해안동3가 8. . ○ 선경준치횟집 * 회무침(준치/병어/송어), 병어/송어회, 구이(붕장어양념/조기/갈치), 찜(갈치/병어), 마른우럭지리탕, 아구찜/수육/탕.* 10:30~20:40. 월요일 휴무. 주차 가능.* 목포시 옥금동 186. . □ 명신식당 : 갈비탕/곰탕/수육.* 갈비탕, 곰탕, 내장탕, 육개장, 수육, 생고기.* 09:00~20:00. 둘째 주 일요일. 주차 가능.* 목포시 수강동1가 3-9. . □ 한정식 ○ 옥정한정식 : 한정식.* 정식(A/B, 4인), 점심특선(보리굴비정식).* 11:00~21:30. 연중 무휴. 주차 가능.* 목포시 상동 1115-9. . ○ 한미르 : 한정식.* 궁중한정식에 남도식 상차림을 가미.* 한정식, 미정식, 르정식.* 11:40~22:00. 명절 휴무. 주차 가능.* 목포시 유달동 1-3. . ○ 수담 : 일식. 굴비정식.* 목포대교 경치를 보면서 식사할 수 있는 집.* 굴비정식, 굴비특한상, 회정식.* 11:00-22:00. BT 15:00-17:00. 연중 무휴. 주차 가능.* 목포시 죽교동 465-150. .□ 향토음식 : 해산물. ○ 만선식당 : 밴댕이(송어). 향토음식.* 허름하지만 내공이 있는 집★.* 송어 : 밴댕이를 이르는 지역 사투리. 강화에서는 6~8월이 제철이지만 남해안에서는 사시사철 먹을 수 있음. 강화도도 철이 지나면 남해안의 밴댕이를 사용함.* 우럭탕은 말린 우럭을 사용하여 육수에서 깊은 맛을 나며 육질도 쫄깃함.* 송어회/무침, 우럭탕/찜, 갈치조림, 농어탕, 농어탕/찜, 병어회/조림, 장어탕/구이.* 10:30-21:00. 둘째·넷째 주 월요일 휴무. 주차장 없음. 주변 골목에 요령껏 주차.* 연희네슈퍼 인근. 화장실 불편.* 목포시 금화동 3-134. . ○ 명진맛집 : 향토음식.* 지역민이 좋아하는 식당. 여주인의 이름이 이명진으로 정이 있는 집. 여주인이 맥주를 좋아하므로 함께 한잔 하면 서비스 음식이 나올 수 있음.* 제절 생물 재료만 사용함.* 소고기낙지탕탕이, 회(병어·민어·광어·도다리·갑오징어·갑오징어숙회·홍어·넝오) 낙지초무침, 갈치찜, 병어찜, 연포탕.* 10:00-00:00. 연중 무휴. 주차는 전남실내테니스장 골목길 또는 인근 공영주차장 이용.* 목포시 옥암동 1002-7. 05. ○ 미락비빔밥 : 꽃게살비빔밥.* 생선회(민어/농어/광어/병어/돔/낙지), 생선찜(갈치/병어/꽃게), 꽃게비빔밥, 갈치구이, 생선구이, 낙지무화무침(낙지/간재미/계절생선), 매운탕(서대/조기), 낙지연포탕.* 11:00-21:00. BT 15:30-17:00. 월요일 휴무.* 목포시 상동 924-5. ○ 모정명가 : 가오리찜·매생이.* 당일 장을 봐 예약제로 운영. 목포 음식 명인으로 선정.* 4인 예약상(특/A/B/기본상), 점심(매생이낙지탕, 매생이떡국, 참소라톳밥, 홍어애국, 낙지연포탕), 특선[삼미찜(문어·등갈비·황태), 보양식(오골계·문어·전복), 낙지요리].* 12ㅣ00-22:00. BT 14:00-17:00. 연중 무휴. 주변에 주차.* 목포시 산정동 1289-14. . ○ 먼바다전복 : 전복.* 전복회, 활어회, 아나고회, 전복죽, 장어탕, 매운탕, 회덮밥.* 10:00~22:00. 연중 무휴. 주차 가능.* 목포시 산정동 1805-3. . □ 콩물○ 유달콩물★ : 콩물, 한식, 분식.* 콩물/콩국수[노란콩, 검은콩(하절기 4월~9월)], 비빔밥, 육회비빔밥, 돌솥비빔밥, 순두부찌개, 된장찌개, 청국장, 참치김치찌개.* 06:30-20:30. 명절 휴무. 주차 불가. 인근 목포세무서 주차장 이용. 주말엔 인근 도로변에 요령껏 주자. 목포 시내에 여러 곳 분점이 있음.* 목포시 대안동 11-5. .* 평화광장점(), 북항직영점(0507 -1395-0568) ○ 유달면옥* 콩물국수, 순두부찌개, 메밀막국수, 왕만두, 수육, 돌숱비빔밥 등 다양한 메뉴.* 09:00-21:00. BT 15:00-17:00. 가게 뒤편 주차 가능.* 목포시 옥암동 1192-6. 05. □ 떡○ 쑥굴레 : 떡.* 쑥굴레떡.★ 쑥을 빚어 만든 떡에 콩고물을 묻힌 후 조청에 굴려 먹는 떡.* 쑥굴레, 떡볶이, 만둣국, 단팥죽, 돌솥비빔밥, 군만두.* 11:30~21:30. 명절 휴무. 주차 불가.* 목포시 죽동 64-7. . ○ 시루랑절구랑 : 떡.* 다양한 떡이 있는 명인의 집.* 보름달떡, 떡케이크가 이름남.* 07:00-19:00. 연중 무휴. * 목포시 옥암동 1008-1. * 하당 부영1차 101동 건너편.□ 성식당 : 떡갈비.* 50년 노포. 떡갈비, 떡갈비백반, 갈비/내장탕.* 석쇠에 고기를 올려 연탄불에 구워 냄.* 11:00~20:00. 매주 목요일 휴무. 주차 불가.* 목포시 영해동1가 8. . □ 곰집갈비 : 냉면/수육.* 낙지냉면, 세발낙지회냉면, 수육무침, 소길비수육무침, 낙지수육무침.* 11:00~22:00. 명절 휴무. 주차 가능.* 목포시 창평동 7-8. . □ 코롬방제과* 70년 전통★* 크림치즈바게트, 새우바게트가 명물.* 08:00~23:00. 비정기적 휴무. 주차 가능.* 목포시 무안동 1. . □ 못난이네 호떡. 생활의달인 소개.* 20여 가지 재료로 만든 반죽물에 아몬드, 땅콩, 해바라기씨를 쪄서 말린 후 갈아서 설탕과 함께 호떡소를 만듬* 꿀/팥/먹물호떡, 옛날떡볶이, 부산어묵, 수제모듬튀김.* 평일 14:00-18:30. 토요일 휴무. 일 14:00- 18:30. 일요일은 문태고 맞은편 못난이네에서 영업.* 재료 소진 시 마감.* 목포시 용당동 1028-18. . 5. 목포 둘레길 □ 유달산 둘레길 : 6.3km. 2시간 반.* 유달산주차장 - 유달산휴게소 - 학암사 - 수원지방뚝길 - 아리랑고개 - 낙조대 - 봉후샘 - 어민동산 - 조각공원 - 특정자생식물원 - 달성사 - 목포지사. □ 입암산 둘레길 : 3.5km. 2시간.* 달맞이공원 - 동광농장 - 범바위쉼터 - 황새바위쉼터 - 해태바위쉼터 - 고양이바위쉼터 - 도둑굴쉼터 - 갓바위굴쉼터. □ 영을산 둘레길 (산림욕장) : 4km. 2시간.* 체육공원 - 편백나무숲 - 산림욕장 - 선녀수 - 실내체육관 - 화성레미콘 - 꽃무릇사거리 - 정상. □ 고하도 용오름 둘레숲길 : 6km. 2시간 40분.* 등산로 입구 - 둘레숲길입구 - 큰덕골저수지 - 개숲삼거리 - 숲길삼거리 - 용머리 - 뫼막게 - 말바우(정상) - 둘레숲길입구. □ 옥단이길* 옥단이 : 실존인물로 목포 출신 극작가 차범석의 작품 (옥단이)의 주인공.* 목포역 - 오거리 - 로데오광장 - 노라노미술관 - 정광정혜원 - 노적봉 - 만인계광장 - 구종명비 - 콩나물동네 - 목포청년회관 - 불종대터 - 벽화골목 - 유달예술타운 - 복교동성당 - 복교초등학교 - 양동교회 - 중앙식료식당(먹통식당) - 남진생가 - 박화성생가터 - 차 없는 거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