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춘기를 위한 짧은 소설 쓰기 수업 (소설가가 알려주는 소설 쓰기 노하우)
페이지 정보
작성자 Malissa 작성일25-03-23 03:03 조회19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나는 소설쓰기수업 지난 9월 열줄소설 공모전에서 떨어졌다. 수상작들을 보면 감탄이 나오는 걸작도 있지만 결과에 승복... 열줄 소설 쓰기 수업을 자평하자면 유의미했으나 두 가지의 문제점이 발견되었다.열 줄은 초보자에게 너무 짧음대부분 주인공의 좌절과 패배를 묘사함 1.은 해결하기 쉽다. 형식 제한을 해제하고, 그래도 짧게 쓰라고 하면 된다. 작품 속 시간의 흐름도 3~5분으로 유지했다. 고조된 갈등을 긴장감 있게 묘사하기 위해서다. 2. 다들 주인공이 허무하게 좌절하거나 속수무책으로 패배하는 소설을 썼다는 게 문제다. 원인은 명확하다. 브레인스토밍 과정에서 주인공의 이름을 특정 학생의 이름으로 통일시켰기 때문이다. 주인공의 이름이 친구의 이름과 같으면 아이들은 신나게 낄낄대면서 주인공에게 큰 갈등을 부여한다. 그런데 친구의 이름을 가진 주인공의 좌절과 패배라는 코드는 소설쓰기수업 중딩에겐 너무나 자극적인 콘텐츠였기 때문에... 주인공의 일방적인 실패를 다룬 작품이 대부분이었다.[9국05-03] 갈등의 진행과 해결 과정에 유의하며 작품을 감상한다. 윗글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나는 소설... 그런데 윗글에서도 이야기했듯이 소설 재미의 본질은 자아와 세계의 대결이다. 대결은 팽팽하게 균형이 맞을 때에 재미가 있다. 그래서 반드시 주인공은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 세계의 압력에 죽자사자 맞서싸워야 한다. 결말에서 주인공이 결국 쓰러지더라도 위기와 절정에서는 기를 쓰고 뛰어다녀야 한다. 그런데 친구 이름을 주인공으로 했더니 주인공이 전부 맥아리 없이 당하기만 했다. 주인공이 세계의 압력(갈등)에 맞서서 맹렬히 싸우게 할 대책이 필요했다. 내가 제시한 대안은 의인화 히어로 소설 쓰기였다. 사물을 의인화 하면 친구의 이름으로 장난칠 수가 없고 소설쓰기수업 히어로물 소설이라면 자연스럽게 주인공이 치열하게 싸우도록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사물은 우리 주변에 흔히 보이는 것을 채용하여 아이디어 생성에 긴 시간을 들이지 않게 했다. 단, 히어로물에서는 주의할 점이 있다. 빌런에게 욕망의 이유(배경)가 없으면 켈켈켈 웃으면서 뭔가를 대충 파괴하는 평면적인 캐릭터로 전락하여 매력이 없다. 빌런은 자신의 행위가 남에게 피해를 끼친다는 것을 알면서도 그 행위를 지속할 명분이나 맥락이 있어야 한다. 또, 히어로의 힘이 너무 강하면 안 된다. 히어로가 힘이 남아돌아서 빌런을 잡으면 대단치 않은 취미생활이나 직업활동처럼 묘사된다. 히어로에겐 반드시 약점이 있어야 하고, 빌런은 히어로의 약점을 공략해야 하며, 히어로는 약점을 희생하면서 빌런을 제압해야 한다. 소중한 것을 잃으면서 남을 소설쓰기수업 도와야만 히어로의 멋있는 마음이 부각될 수 있다. 분량 제한을 없애 놔서 작품 전체를 싣기는 좀 그렇고 우수작의 설정만 몇 편 소개하려 한다. 로찬이가 설정한 빌런은 지우개. 지우개는 검은색 글씨를 모두 죽여서 하얀색의 정의로운 세상을 만들고자 한다. 부모님 지우개가 글씨들과 싸우다가 소멸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히어로 샤프심도 포기할 수 없다. 모든 검은 글씨들은 샤프심의 아들이기 때문이다. 지우개의 테러를 막기 위해 사프심은 용감하게 지우개를 찌르지만, 그의 몸은 너무 약해서 자꾸만 부러진다. 부러져면 또 찌르고, 부러지면 또 찌르다가, 마침내 샤프심은 전부 부러져버린다. 그러나 지우개에 박힌 샤프심들 때문에 지우개가 글씨를 지우려 할 때마다 새로운 글씨들이 태어나게 된다. 샤프와 샤프심이 워낙 친숙해서 이를 소설쓰기수업 의인화한 학생들이 많았다. 현준이의 빌런은 샤프심인데, 자꾸만 샤프에서 튀어나와 주인의 손을 찌른다. 샤프는 주인을 사랑하기 때문에 자신의 샤프심이 주인을 찔러 다치게 하는 것이 너무 싫다. 그래서 하루는 샤프심들을 초대하여 자기 뱃속에 모두 담고 스스로 책상에서 뛰어내려 샤프심이 다시는 주인의 손을 찌르지 못하도록 자신의 입을 휘어버린다. 영현이의 빌런은 종이. 밋밋하게 태어난 그는 화려한 색깔을 가지고 싶었다. 그래서 포스트잇을 빼앗아 스스로를 점점 화려하게 치장한다. 그러나 하나뿐인 친구 포스트잇을 자신의 목숨과 바꾸어서라도 지켜주고 싶었던 색연필은 자신의 심을 모두 다 사용하여 종이에 색을 칠하고 생을 마감하지만 종이에는 아직 조금의 빈칸이 남게 된다. 이때 포스트잇도 마지막 남은 것을 떼어 종이의 빈칸에 색을 소설쓰기수업 입혀주며 두 친구는 나란히 죽는다. (이 경우 빌런-세계의 승리라는 점이 아쉽다) 연우의 빌런은 태양. 자신은 활활 타들어가고 있는데 실내에서 시원하게 놀고 있는 인간들이 밉다. 그러나 커튼은 실내를 바라보고 있어서 태양의 생각이 오해라는 것을 안다. 교실의 아이들은 놀고 있는 게 아니라 발전할 미래를 위하여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 그런 학생들을 지켜내기 위하여 커튼은 조그만 틈새까지 막아주려고 찢어질 위험을 무릅쓰고 힘겹게 팔을 뻗는다. 동빈이의 빌런은 휴지심. 학생들이 똥을 누러 올 때마다 자신의 소중한 휴지 친구들이 물에 빨려들어간다. 그래서 모든 친구들을 미리 풀어서 휴지통 안쪽으로 대피시켰다. 똥을 눈 학생은 어쩔 수 없이 옷의 일부로 똥을 닦아야 한다. 하지만 히어로인 왼쪽 양말은 소설쓰기수업 자기가 사랑하는 오른쪽 양말을 도저히 희생시킬 수 없어서 스스로 똥휴지의 역할을 자처하게 된다. 히어로물 소설을 쓰되 인물의 배경 설정을 강조했더니 재미있는 이야기들이 많이 나왔다. 히어로가 목적 달성을 위하여 세계의 압력에 적극적으로 저항하는 '자아와 세계의 대결'을 제법 그려내었다. 그러나 장면 묘사의 수준이 아직 부족하다. 다음번엔 친구들과 상호평가하는 수업을 거친 다음 곧 디벗이 오면 좀 더 긴 분량의 소설도 지도해봐야 겠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