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HOME >> 커뮤니티 >> Q&A

[웹소설 쓰기 도전] 강의가 도움이 될까?

페이지 정보

작성자 Elin 작성일25-03-20 14:58 조회2회 댓글0건

본문

올해 소설쓰기강의 나의 화두는 '어떤 글을 쓸까'이다. ​지금까지 블로그에아이들 육아하며 이런저런 일상 글과독서 기록, 나들이 기록 등을 남겨오고 있지만​뭔가 내가 쓰는 글임에도 이상하게 나의 글이 아닌 것 같아 갈증이 있었다. ​그래서 3월 4일부터 책과 강연에서 하는'백일 백장'에 지원해 매일 한 편의 글을 써보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매일 글을 쓰면서도어떤 글을 쓸 것인가에 소설쓰기강의 대한 물음은 여전히 있다. 한겨레 문화센터, 서유미 작가님의 손바닥 소설 쓰기 첫 수업매일 이렇게 글을 쓰는데나는 심지어.. 어떤 장르의 글을 쓰고 싶은지도오리무중이다. ​아이 그림책을 읽어주다 보면나도 그림책 작가가 되고 싶다는 생각도 들고한 번쯤은 소설을 쓰는 정식 작가가 되고 싶기도 하다. ​그러다 풍문으로 듣기로 한겨레 문화센터 글쓰기 강좌가 좋다고 해서..​용기 내서 소설쓰기강의 한겨레 문화센터의 '서유미 작가님의 손바닥 소설 쓰기'줌수업을 신청했다. 글을 쓰고 서로 나누는 '합평'이 있기 때문에사실 신청하는 데 부담이 있었지만,​그래도 '손바닥 소설'이라고 하니..이 정도는 나도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그런 생각? 손바닥 소설 쓰기 첫 수업에서 깨달은 것 3가지1. 내가 왜 소설을 쓰고 싶어 했을까?​작가님은 모든 수강생들이 '내 안에 하고 소설쓰기강의 싶은 얘기'가 있어서 왔다며..​그런데 그 이야기를 '글'로 쓰고 싶어서 이렇게 왔고에세이는 뭔가 '나'를 드러내야 하는데​소설에서는 '다른 인물'의 이름으로 이야기하며자유로움을 얻을 수 있는 그 매력 덕분에 소설을 쓰게 되는 거라는 것 ​'아하, 소설을 통해서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다른 인물을 빌어 표현할 수 있구나.'하는 생각을 처음으로 해봤다. ​​2. 읽고 쓰려는 자신을 소설쓰기강의 인정해 주자. ​사실 매일 백일백장으로 글을 남기고함께 쓰는 분들과는 서로 작가님이라고 이야기하지만​내가 원래 아는 지인 누구에게도 나는 '나 매일 글을 쓰는 작가야.'라고 떳떳하게 말하지 못했다. ​작가님도 모든 걸 함께한 직장 동료에게조차글밍아웃을 못했고​나중에 상을 받고 책이 나온 후 들통이 난 이야기를 해주며글밍아웃을 못하는 그 마음을 공감한다고 하셨다. ​하지만, 적어도 나 자신에게만큼은'매일 소설쓰기강의 이렇게 읽고 쓰려고 하는 나 자신이 대견하고, 대단하다.그리고 잘 쓸 수 있어.'라고 말해줘야 한다는 것​다른 누구도 해줄 수 없는내가 꼭 해줘야 하는 것 ​​3. 소설을 쓰기 위해서 계속해야 할 것들 ​-소설을 쓰는 단계를 건너뛰지 않고, 발상 후 '구상'과 '구성'의 단계를 거칠 것 -내가 글을 쓰고 합평하며 '내가 부족한 부분'을 아는 소설쓰기강의 게 중요! ​ 좌절하고 포기하는 게 아니라, 내가 부족한 부분을 연마해 가야 하는 것 ​-소설을 쓴다는 것은 '읽는 것'과 같이 가야 한다는 것​-좋은 소설에 대한 청사진이 있어야, 내 글을 잘 쓸 수 있다. 쓰다 막히면? 좋은 소설을 읽어야 한다!!그리고 읽기만 하는 게 아니라 써야 한다. 서유미 작가서유미 작가님의 진솔한 강의 소설쓰기강의 덕에 2시간이 후딱 재밌게 흘러갔다. ​역시 사람은 자꾸 배워야 하는 것 같다.세상은 넓고, 배울 것은 많다.​쓰기 전부터 왠지 잘 쓸 자신이 없어지는 느낌이지만..​작가님은 처음부터 이런 생각이면 안 된다며이런저런 포부가 있어야 한다고 얘기한 것을 떠올리며​'나는 잘 쓸 수 있다.''나는 쓰고 싶은 것을 발견할 수 있다.'생각하며어떤 글을 써볼지 곰곰이 생각해 봐야지. ​​​​​​

소설쓰기강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상호명 신성사 | 대표자 박한규 | 사업자등록번호 106-50-64457 | TEL 02-713 –3691 | FAX 02 - 716 - 8564 | ADD 서울특별시 용산구 원효로58길 17 나우빌딩 2층 | E-mail help@sscom.co.kr

Copyrightsⓒ2016 신성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