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옵저버빌리티 플랫폼 완전정복
페이지 정보
작성자 Melina 작성일25-07-03 06:56 조회1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QGRO는 지표 기반 순위화 American Century U.S. Quality Growth Index를 추종 성장형 ETF다. 미국의 대형 및 중형 주식 중에서 품질(Quality), 성장(Growth), 가치(Value) 요인을 기반으로 우량 종목을 선별하고, 크게 두 개의 서브(Pure Growth 및 Stable Growth)로 구성되며, 각각 특정한 조건과 점수로 지수 종목을 산출한다.초기 종목 선정은 S-Network US Equity Large/Mid-Cap 1000 Index를 기반으로하며, 하위 2%의 시가총액이 낮은 기업을 제외한다. 이후, 품질(Quality) 점수를 기준으로 하위 25% 종목 및 각 산업 지표 기반 순위화 내 하위 25%를 추가 제외시킨다.퀄리티 점수 산정카테고리재무 지표수익성잉여현금흐름/자산 (Free Cash Flow/Assets) 자산 회전율 (Asset Turnover) 마진율 (Margin) 총이익률 (Gross Profitability) 자산수익률 (ROA) 자기자본수익률 (ROE)이익의 질Accruals매출, 이익, 현금흐름 변동성경영 품질자산 성장률 (Asset Growth) 주식 및 채권 발행 성장률 (Issuance Growth) 자본 지출 및 성장 (CapEx &Growth)레버리지순부채/EBITDA 자산/자본비율모멘텀EPS 예상치 수정 (EPS Estimate Revisions) 주가 모멘텀 (Price Momentum)각 종목을 개별 품질 지표별로 백분위 순위화하여, 개별 지표별 가중치를 지표 기반 순위화 부여한 최종 품질 점수 산출. 하위 25% 및 산업별 하위 25%를 제외한다.가치 점수 산정카테고리재무 지표저평가 지표장부가치/주가 (Book/Price) 매출/주가 (Sales/Price)이익 수익률이익/주가 (Earnings/Price) EBITDA/기업가치 (EBITDA/EV)현금흐름 수익률운영현금흐름/주가 (Operating Cash Flow/Price) 자유현금흐름/주가 (Free Cash Flow/Price)종목별 각 가치 지표를 산업 내 백분위 순위화하여 가중치를 부여한 최종 가치 점수 산출성장 점수 산정카테고리재무 지표과거 및 예상 성장매출 성장 (Sales Growth) 이익 성장 (Earnings Growth) 현금흐름 성장 (Cash Flow Growth)내재 성장주가/이익비율 (P/E) 지표 기반 순위화 주가/장부가치비율 (P/B)개별 성장 지표별로 백분위 순위화하여 가중치를 부여한 최종 성장 점수 산출. 하위 40% 종목 제거포트폴리오 구성순수 성장 포트폴리오 (Pure Growth Subportfolio)섹터 비중: 시장 섹터 비중의 50%~200% 내 유지안정적 성장 포트폴리오 (Stable Growth Subportfolio)섹터 비중: 시장 섹터 비중의 30%~150% 내 유지지수 내에서 특정 섹터의 비중을 조정할 때, 50%~200%(30%~150%) 범위 내에서 조절한다는 의미시장 섹터 비중은 전체 시장에서 특정 산업(예: IT, 금융, 헬스케어 등)이 차지하는 비율을 지표 기반 순위화 의미예를 들어, 전체 시장에서 IT 섹터 비중이 20%라면, QGRO 지수 내 IT 섹터의 비중은 다음 범위에서 조정된다. 50%×20%=10%, 200%×20%=40% 즉, QGRO 내 IT 섹터 비중은 최소 10%, 최대 40%까지 가능이는, QGRO가 성장 중심 및 포트폴리오 차별 전략을 취한다는 의미시장 평균과 동일한 비중(100%)으로 유지하면 일반적인 시장 지수와 유사해짐. 그래서 성장성이 높은 섹터를 더 많이 반영하기 위해 최대 200%까지 확대 가능.반대로 50%까지 축소 가능 의미는,특정 섹터가 지표 기반 순위화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지만, 성장성이 낮다면 최소 50%까지 축소 가능.예를 들어, 시장 내 금융 섹터 비중이 15%라면, QGRO에서는 이를 7.5%까지 낮출 수 있음.시가총액: 전체 시장의 상위 45% 이상개별 종목 최소 비중: 0.25%개별 종목 최대 비중: 0.50%~3.5% (변동성 고려)최종 지수 구성은 Pure Growth + Stable Growth 포트폴리오를 혼합월별 다이나믹 리밸런싱최근 수익률 및 변동성 고려하여 조정상승장에서는 변동성 조정된 수익률을 기준으로 가중치 조정하락장에서는 단순 평균 수익률을 기준으로 지표 기반 순위화 가중치 조정각 포트폴리오 비중: 최소 35%~최대 65%월별 최대 변동 폭 ±15% 이내 유지QGRO는 월별 리밸런싱, 분기별 리컨스티튜션 진행구분ReconstitutionRebalancing정의지수 구성 종목 자체를 변경기존 종목들의 비중을 조정변화 요소신규 종목 편입 &기존 종목 제외각 종목의 가중치 조절목적지수의 대표성 및 전략 유지변동성 조절 및 최적 비중 유지빈도보통 분기별 또는 반기별월별 또는 분기별예시QGRO는 2월, 5월, 8월, 11월 마지막 영업일에 리컨스티튜션 실행QGRO는 매월 리밸런싱 실행일반적인 지수 ETF(S&P 500, Nasdaq 등)는 지표 기반 순위화 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종목을 선정하지만, QGRO는 Quality, Growth, Value 요인을 반영하여 종목을 선별. 전통적인 빅테크(Apple, Microsoft 등)의 비중이 낮고, 성장성이 높은 중대형 기업(Palantir, AppLovin, Palo Alto 등)이 포함됨. QGRO는 단순히 대형주를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잉여현금흐름(FCF), 이익률 등 품질 지표가 높은 종목을 선별하여 성장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고려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도 경쟁력 있는 기업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음.다만, 성장주 중심 전략을 보완하는 ETF와 함께 포트폴리오에 일부 포함하는 것이 조금 지표 기반 순위화 더 안정적일 수 있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