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HOME >> 커뮤니티 >> Q&A

▲ 지난 1일 찾은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ion 작성일25-07-10 12:33 조회1회 댓글0건

본문

▲ 지난 1일 찾은 강릉시 왕산면의 오봉저수지 하류 남대천이 메말라 바닥이 드러났다. 황선우 기자 장마가 일찍 끝나면서 일부 지역에 가뭄 조짐이 나타나자 환경부가 홍수대응체계를 유지한 가운데 가뭄 대응에도 나서기로 했다. 환경부는 여름철 자연재난 대책 기간(5월 15일부터 10월 15일까지) 홍수대응체계를 유지하면서 강릉 등 국지적으로 나타나는 가뭄에도 총력 대응하겠다고 9일 밝혔다. 지난 7일 기준 생활·공업용수 공급 역할을 하지 않는 영주댐을 제외한 19개 다목적댐의 예년 대비 저수율은 평균 116.2%, 12개 용수댐은 98.1%로 아직 댐에 물이 부족한 상황은 아니다. 다만 대구 등 경북권에 물을 공급하는 용수댐인 운문댐은 현재 저수율이 38.4%로 예년 저수율(47.3%)을 크게 밑돌고 있다. 운문댐은 지난달 1일 가뭄대응단계가 ‘주의’로 격상돼 하천유지용수 공급량을 줄이고 운문댐에서 대구에 공급하는 생활·공업용수를 낙동강 물로 대체하는 등의 물 비축을 하고 있다. 또 강릉 생활·공업·농업용수를 90% 가까이 공급하는 오봉저수지도 가뭄단계가 ‘관심’ 상태다. 예년 이맘때 오봉저수지 저수율은 65%인데 현재 저수율은 31%에 그치고 있다. 환경부는 이에 9일 강릉시와 농림축산식품부, 한국농어촌공사, 한국수자원공사 등 관계기관과 대책회의를 열고 오봉저수지 가뭄 단계가 ‘심각’으로 격상되는 상황에 대비 제한급수 등 대책을 검토했다. 장마가 없다시피 하면서 물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많은 비가 내릴 것에 대비해 댐을 비워뒀는데 비가 내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연중 내리는 비의 50∼60%가 여름(6∼8월)에 온다. 특히 장마철 강수량이 연 강수량의 30%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크다. 하지만 올해 들어 지난 8일까지 전국에 내린 비의 양은 452.2㎜로 평년 같은 기간 강수량(544.4㎜)의 83.8% 수준이다. 최근 2주(6월 25일∼7월 8일) 전국 강수량은 8.3㎜로 평년 동기 강수량(141.0㎜)의 6.1% 수준이다. 수도권과 강원 영서지역은 비가 평년 10분의 1 수준 정도는 왔지만, 나머지 지역은 강수량이 평년의 10%에 못 미친다. 이는 올해 장마가 예년보다 일찍 시작해 짧게 지나간 탓이【베이비뉴스 이유주 기자】 더불어민주당 서미화 국회의원은 10일 오전 10시 국회의원회관 제11간담회의실에서 '초저출생 극복 방안 – 미해결 과제와 골든타임 살리기' 토론회를 개최한다. ⓒ서미화 의원실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10일 오전 10시 국회의원회관 제11간담회의실에서 '초저출생 극복 방안 – 미해결 과제와 골든타임 살리기'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7일 밝혔다.이번 토론회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영석 의원이 함께 공동주최하고, 대한생식의학회, 대한보조생식학회, 대한가임력보존학회가 공동 주관한다.이번 토론회는 저출생 문제의 구조적 원인을 진단하고, 그동안 정책적 대응이 미비했던 분야를 중심으로 실질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토론회에서 논의 될 주요 정책과제는 ▲생식 건강검진 확대 ▲가족계획 및 생식 건강교육 강화 ▲비혼 출산에 관한 법·제도 보완 ▲모자보건법 적용 범위 확대 ▲난임 치료제의 안정적 공급 등이다.토론회에서는 이중엽 함춘여성의원 원장이 '난임 치료시스템 개선 및 가임력 검진‧생식 건강교육 강화 방안'을, 이정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가 '초저출생 극복을 위한 미해결 과제 검토'를 주제로 발제할 예정이다.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난임 치료 현실과 제도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현재 정책이 포괄하지 못하고 있는 구조적 공백과 정책 사각지대를 짚어낼 예정이다.발제 후에는 의료계·학계·언론·정부 관계자 등 주요 인사들이 참여하는 패널 토론이 이어질 예정이다. 패널토론에서는 저출생 대응에 있어 현장의 문제와 제도적 한계를 점검하고 발제에서 제안된 정책과제의 실행 방안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특히 최근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난임 치료제의 안정적 공급의 중요성과 난임 치료의 접근성·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개선 방안도 함께 논의될 예정이다.서미화 의원은 "한국의 저출생 문제는 개인의 문제가 아닌 우리 사회 전체가 풀어야 할 과제"라며, "난임 당사자의 지원대책을 포함하여 초저출생 대응방안이 하루빨리 구체화 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토론회를 통해 다양한 전문가들의 목소리를 담은 실행 가능한 정책 대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Copyrightsⓒ베이비뉴스 pr@ibabynews.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상호명 신성사 | 대표자 박한규 | 사업자등록번호 106-50-64457 | TEL 02-713 –3691 | FAX 02 - 716 - 8564 | ADD 서울특별시 용산구 원효로58길 17 나우빌딩 2층 | E-mail help@sscom.co.kr

Copyrightsⓒ2016 신성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