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상주시 사벌국면에 조성된 상주 스마트팜 혁신밸리 토마토 온실에서 천장에 설치된 스크린으로 채광량을 조절하고 있다. 김정석 기자 지난 5월 20일 경북 상주시 사벌국면 엄암리. 평범한 시골길을 따라 달리다 보니 저 멀리 거대한 시설물들이 늘어서 있는 것이 보였다. 나지막한 야산과 이제 막 모내기 채비에 들어간 논, 오래돼 보이는 주택들만 간간이 보이던 풍경에서 갑자기 공장처럼 생긴 시설물들이 나타나자 낯선 느낌이 들었다. 이곳은 축구장 60개 정도 규모인 42.7㏊ 부지에 들어선 ‘상주 스마트팜 혁신밸리’다. 사업비 1738억원을 들여 2021년 준공한 이곳에서는 딸기와 토마토, 멜론, 오이 등 작물을 위주로 키우는 스마트팜이 줄지어 들어서 있다. 스마트팜 혁신밸리 부지 안으로 들어서니 우뚝 솟은 온실이 끝도 없이 늘어서 있었다. ━ ‘농사 문외한’서 전문농부로 교육 상주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매년 18~39세 사이의 청년 52명을 선발해 전문화된 창농 교육을 시키는 청년창업보육센터, 농업 관련 기술이나 기자재 실증을 진행하는 실증단지, 청년창업보육센터 수료생과 지역 농업인에게 기회를 제공하는 임대형 스마트팜 등을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 토마토 농사를 짓고 있는 강태영(32)씨도 청년창업보육센터 교육생 중 한 명이다. 교육생으로 들어오기 전까지만 해도 농사와는 전혀 관련 없던 청년이었다. 강씨는 “도서관에서 사서로 근무를 하다가 농업에 흥미를 느껴 지원하게 됐다”고 말했다. 경북 상주시 사벌국면에 조성된 상주 스마트팜 혁신밸리 토마토 온실에서 교육생 강태영씨가 작물을 살펴보고 있다. 김정석 기자 강씨의 하루 일과는 토마토가 자라고 있는 온실이 아닌 ‘환경제어실’에서 시작된다. 환경제어실에 설치된 컴퓨터 화면에는 ‘외부환경 기상센서’가 있는데, 여기서 온실 안의 온도와 풍향, 풍속, 일사량(日射量), 내부 습도 등이 표시돼 있었다. 또 토마토 줄기가 연결된 배지(培地)는 토양 역할을 하는데, 스마트팜 설비가 배지의 무게를 실시간으로 측정해 배지에 수분 함량이 얼마나 높은지를 파악한다. 강씨는 토마토 생육 단계를 고려해 최적의 조건을 환경제어실에서 만들어낸다. 그는 “환경제어실에서는 온열질환 =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충청투데이 함성곤 기자] 올해 장마가 예상보다 일찍 종료되면서 때 이른 폭염이 야외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기후변화로 인해 해마다 폭염이 일찍 찾아오고 강도도 높아지는 가운데, 정부의 제도적 대응은 뒷걸음질 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4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 5월 15일부터 이달 2일까지 전국에서 발생한 온열질환자는 617명, 이 가운데 추정 사망자는 5명으로 집계됐다.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온열질환자 395명, 추정 사망자 2명이었으며, 1년 사이 온열질환자 수는 56.2% 증가했다.충청권도 예외는 아니다. 같은 기간 대전 8명, 세종 4명, 충남 27명, 충북 35명 등 총 74명의 온열질환자가 발생했는데, 전년 대비(64명) 15%가량 늘었다.대부분이 단순 노무 종사자로 실외 작업장이나 도로, 농경지 등에서 증상을 보인 것으로 확인됐다.특히 폭염 경보가 내려졌던 지난달 30일에는 대전 유성구의 한 건설 현장에서 작업 중이던 40대 여성 노동자가 탈수 증세와 오른손 마비 등 온열질환 증상을 보여 병원으로 긴급 이송되기도 했다.다행히 생명에는 지장이 없었지만, 무더운 날씨 속 건설 현장의 열악한 작업 환경을 여실히 보여준 사례라는 지적이다.하지만 노동자 보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는 제자리걸음을 면치 못하고 있다.정부가 올해 초 입법예고 했던 '체감온도 33도 이상 시 2시간 이내 20분 휴식' 규정을 담은 산업안전보건기준 규칙 개정안은 대통령 직속 규제개혁위원회의 철회 권고로 시행이 유보됐기 때문이다.규개위는 "과도한 규제이며 영세사업장에 부담이 된다"는 이유를 들었다.이에 따라 온도계 비치, 냉방시설 설치, 휴식 시간 보장 등 폭염 대응 조치들이 포함된 안전보건규칙 개정안 대부분이 보류됐다.이에 노동계는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민주노총은 해당 조항은 최소한의 핵심 보호 조치라며 부족한 사항을 보완해 세부 규칙을 신속히 개정하라는 입장을 내세웠다.김호경 민주노총 대전본부 사무처장은 "이번 주 대전노동청장과의 면담에서 현장 지도를 통해 작업 현장 안전 수칙 준수 여부를 살피겠다는 답변을 받았다"며 "하지만 벌칙 조항이 있어야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