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과 가톨릭 문화가 혼재
이슬람과 가톨릭 문화가 혼재된 스페인 최남단의 자치주 ‘안달루시아’로 떠났다. 첫 번째 목적지는 주도인 세비야다. 과달키비르 강이 흐르는 평야지대에 자리잡고 있는 이 도시는 플라멩코의 발상지로 널리 알려져 있다. 정열의 춤을 비롯해 세비야 여행을 풍요롭게 하는 ‘5가지 핵심 키워드’를 소개한다. 플라멩코를 공연하는 거리의 예술가들 No.1 세비야 여행의 시작점, 산타크루즈지구 구슬픈 집시의 노래에 이끌려 발걸음을 재촉하며 도달한 곳, 거리를 가득 메운 군중을 비집고 들어가 그 속을 들여다보니 연주자의 음악에 온전히 몸을 맡긴 댄서의 움직임이 군중을 압도한다. 한 명의 댄서와 한 명의 연주자, 두 사람의 완벽에 가까운 합일은 댄서와 연주자의 경계를 단숨에 무너뜨린다. 세비야 도심에서 한 블록 지날 때마다 어김없이 등장하는 거리의 예술가들. 거리는 곧 무대로 통한다. 그중 가장 중심이 되는 거리이자 무대, 세비야 여행의 시작점이 되는 곳이 바로 ‘산타크루즈지구’다.산타크루즈지구만 둘러봐도 세비야 여행의 8할이 채워진다. 그도 그럴 게 세비야 여행의 랜드마크라 불리는 대성당과 첨탑, 궁전 및 정원 등 역사를 품고 있는 관광명소가 이곳에 밀집되어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세비야의 구시가지라 일컬어지는 산타크루즈지구는 역사적으로 안달루시아를 넘어 스페인에서 가장 큰 유대인 공동체가 자리했던 ‘유대인지구’로 통용돼 왔다. (좌)산타크루즈지구 거리 풍경 (우)대성당과 궁전 주변 광장 1248년 무슬림 지배하에 있던 도시를 정복한 기독교의 왕 페르디난도3세가 유대인에게 이 도시를 넘겨준 것이 시발점이 되었다. 이후 약 200여 년간 세비야는 유대인 도시로 각광받았지만 1492년 스페인 전역에 종교분쟁이 일어나면서 이 도시에 거주하는 모든 유대인이 추방당하는 결과에 이르렀다. 당시 부흥했던 도시의 면면은 이런 역사적 사실과 더불어 산타크루즈지구가 가진 독특한 건축 구조적 특징을 통해 살필 수 있다. 옛 유대교 시대의 풍경은 좁은 거리와 미로처럼 나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지난 6월 공개한 신형 구축함 강건호의 모습. 노동신문 캡처 [파이낸셜뉴스] 북한이 내년 10월까지 최현급 세 번째 구축함을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이는 지난 4월 26일 북한의 첫 번째 5000t급 최현호 공개 후 한 차례의 건조 실패를 겪고 지난달 12일 강건호 재진수에 일단 성공한 이후 한달 10일만의 일이다. 23일 군과 외교가에 따르면 북한 노동신문은 지난 21일 남포조선소 관계자들이 '궐기 모임'을 열고 내년 당 창건일인 10월 10일까지 최현급 세번째 구축함을 건조하기로 결의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이날 행사에 군수를 담당하는 조춘룡 당 비서와 윤치걸 남포조선소 지배인과 선박공업 부문의 간부, 노동자, 기술자들이 참석했으며, 김정은 시대를 '주체적 해군무력 강화의 새로운 일대 전성기'로 만들기 위한 우렁찬 함성이 울려 퍼졌다고 선전했다. 앞서 북한 김정은 위원장은 강건호 진수식에서 "당 중앙군사위원회는 내년에 5000t급 구축함 2척을 추가로 건조하는 계획을 공식 승인했다"며 "우리는 계속해서 최현급 또는 그 이상의 구축함들을 매해 2척씩 건조해 작전 수역에 배치할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 일각에서는 북한의 신형 구축함 건조는 러시아와의 기술 협력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이며, 아직도 완전한 작전 운용 능력은 증명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또 북한이 1년 반도 채 안 되는 시간에 3척의 구축함을 완성하겠다는 건 무리한 계획이라고 보고 있다. 하지만 건조 속도 측면 등으로 미루어 북한이 예상을 뛰어 넘는 해군력 강화의 강한 의지를 보여주고 있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지난 2022 발간된 국방백서에 따르면 북한의 전투함은 420여 척으로 한국의 90여 척보다 많지만, 대부분 매우 노후화된 수백t급의 소형 함정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파악된다. 북한은 이번 신형 구축함 2척 진수 이전 보유한 가장 큰 함정은 1500t급의 압록급 호위함이었다. 우리 해군은 경하 배수량 8200t급 정조대왕함 1척과 경하 배수량 7600t급 세종대왕함급 등 이지스함 4척을 포함해 구축함 총 12척과 3100t급 대구급 호위함 17척 등의 전력을 갖추고 있다. 반길주 국립외교원 교수는 전략적 시사점이
이슬람과 가톨릭 문화가 혼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