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짧은 장마 뒤 이어진 폭염으로 녹조와 부유물이 확산한 인천 연수구 송도센트럴파크 호수를 수상택시가 지나고 있다. 조병석기자 “매년 여름철만 대면 녹색물에 거품 같은데 둥둥 떠다니고, 너무 더러워요.” 10일 오전 9시께 인천 송도센트럴파크 공원. 깔끔한 인근 산책로와 어울리지 않는 탁한 초록색 호수가 공원을 가로질러 흐르고 있다. 녹조가 가득한 호수를 가까이서 들여다 보면 스펀지 같은 노란색 부유물까지 둥둥 떠다니고 있다. 인천을 대표하는 공원을 한 복판에 있는 호수지만, 지저분한 모습에 이곳을 지나가는 주민들은 눈살을 찌푸린다. 주민 김주원씨(58)는 “아침마다 이곳을 산책하는데 날이 더워지기만 하면 녹조와 부유물들이 더 심해진다”며 “몇 년째 이 상황이 반복하고 있는데, 왜 해결이 안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인천 송도센트럴파크 호수가 폭염으로 인해 가시파래 등으로 뒤덮이면서 녹조가 생겨 미관을 해치고 있다. 더욱이 이 같은 녹조는 해마다 반복,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인천시설공단 등에 따르면 최근 침전물 후처리 장치를 가동해 가시파래와 부유물 등을 제거하고, 수질정화시설 나노버블을 통해 수질 정화를 하고 있다. 앞서 인천경제청은 해마다 여름철 센트럴파크 호수가 해조류인 가시파래로 가득 차자올해 공원 호수 수질 관리를 위해2억9천만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센트럴파크 호수는 송도 앞바다 물을 끌어와 만든 인공 수로로, 가시파래 포자가 수문을 통해 들어오면서 호수에서 자리 잡는다. 가시파래는 따뜻한 물에서 자라는 데다가 이 호수는 수심이 1.5m에 그쳐 해조류가 광합성하기 좋은 조건이다. 호수에 살던 가시파래가 죽으면, 물 위로 떠올라 거품 같은 부유물로 변한다. 하지만 해마다 부유물 제거만 반복할 뿐, 근본적인 현상은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호수 밑이 자갈밭이라 아스팔트처럼 고르지 않은 탓에 바닥 청소 작업이 어려울 뿐더러, 호수의 물이 다시 바다로 나가기 때문에 화학 물질 등을 함부로 사용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인천경제청은 해수 순환 및 가시파래 제거 관련 대책을 찾기 위해 오는 2026년 인천연구원에 용역을 의뢰할 계획이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최근 날이 급격히 더워지고 비가 와서 가시파래와 부유물 등이 많이 물밀면과 한우 암소 불고기, 카다이프 새우 튀김 등 쟁반 가득 차려진 밀면 반상이 먹음직스럽다. “여름! 여름! 여름! 여름! 아아아아아아아 여름이다.”불쾌지수가 폭발하는 요즘, 집 밖을 나서기만 해도 땀이 줄줄 흐른다. 3n년을 살아오며 이렇게 더웠던 적이 있었나 싶을 정도다. 더위에 지쳐 불타오른 속을, 차가운 음식으로 잠시나마 진정시켜 본다.부산 사람들의 여름 소울푸드 밀면! 개인적으로는 밀면이 다 거기서 거기라고 생각했는데, 이번에 들른 ‘밀해담’은 조금 달랐다. 부산의 난다 긴다 하는 밀면집들을 뒤로하고 <부산온나> 취재팀이 이곳을 찾았다. 밀면집이라고는 연상되지 않는 고급스러운 밀해담 외관. 회사가 부산역 근처이다 보니 점심시간마다 종종 이곳을 찾곤 하는데, 그때마다 은색으로 반짝이는 고급스러운 외관의 한 건물이 눈에 띄었다. 식당 이름을 검색해 지도에 ‘찜’해놓고 방문해야지 했던 곳이 바로 밀해담이다.12시 점심시간에 맞춰 찾았더니 매장 안은 이미 손님들로 문전성시. 무더운 날씨에도 웨이팅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그래도 밀면의 가장 큰 장점은 회전율이 빠르다는 것. 자리가 났다는 안내에 냉큼 착석했다. 음식이 나오기 전, 매장을 천천히 둘러보았다. 전체적으로 깔끔한 분위기가 인상적이다. 1층은 2인석과 4인석 위주, 2층은 단체 손님이 이용하기 좋게 조성됐다.밀면집의 첫인상은 온육수가 좌우한다고 생각하는 바. 이곳의 온육수는 조미료 맛이 두드러지지 않아 자극적이지 않고 깔끔했다. 이쯤 되니 밀면 맛이 궁금해진다. 이날은 밀면 반상과 골동밀면, 신발원 고기만두 탕반을 주문했다.밀면 반상은 밀면을 중심으로 한우 암소 불고기, 카프레제 샐러드, 카다이프 새우튀김, 당근 라페, 저당 수제 팥양갱, 배 요거트 셔벗까지 한 번에 즐길 수 있는 메뉴다. 가격은 1만 8000원으로 다소 높게 느껴질 수 있지만, 다양한 구성과 푸짐한 양 덕분에 여름철 잃기 쉬운 입맛을 되살리고 지친 몸의 에너지를 채우기에 충분하다.반상 메뉴는 점심과 저녁 각각 20세트 한정으로 판매된다. 빠른 자만이 반상 메뉴를 차지할 수 있다. 밀해담 황미 대표는 “반상 메뉴는 퀄리티 유지를 위해 한정 수량으로 판매할 수밖에 없다”며 “점심 반상은 12시 전에 마감되는 편”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