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경기 김포시 애기봉 관측소(OP)에서 바라본 북측 영토. [사진 해병대] 2일 오후 경기 김포시 월곶면 해발 약 154m의 애기봉 관측소(OP). 만조로 물이 차오른 한강하구 중립수역을 사이에 두고 북측 영토가 지척에 펼쳐졌다. 지난 11일 부로 군 당국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단하는 등 이재명 정부의 화해 제스처에도 접경지에선 여전히 긴장감이 감돌았다. 고배율 망원경을 통해 보니 북한 A고개 능선 위의 검은색 사각형 물체가 눈에 들어왔다. 북한이 아직 철거하지 않은 대남 확성기였다. 아군의 조치에 따라 북한이 대남 소음 방송을 중단하긴 했지만, 언제든 다시 틀 수 있다는 의미다. 우리 군 당국도 고정형 대북 확성기를 아직 철거하지는 않았다. 해병대는 이날 서울 서측방을 방어하고 있는 수도 방위 부대인 2사단을 취재진에 공개했다. 2사단은 유엔사가 관할하는 한강하구 중립수역을 끼고 인천 교동도와 석모도, 강화도, 경기 김포 등 접적 지역을 작전 지역으로 한다. 해병대의 최전방 부대로 꼽히는 배경이다. 애기봉 건너편의 북측에는 지난해 북한의 오물풍선 부양 '원점' 가운데 하나로 지목된 B산도 있었다. B산 중턱에는 북한군이 조성한 붉은 흙 길이 선명했다. 군 당국은 이 도로가 탈북을 시도하는 주민들의 발자국을 잡아내기 위한 용도라고 보고 있다. B산과 인접한 대남 선전용 마을에는 주민들 3~4명이 나와 땅을 고르고 있었다. “북한군이 초소에서 다투는 모습까지 보인다”고 할 정도로 가까운 거리가 실감났다. 2사단 작전 지역과 북측 영토의 최단 거리는 약 1.3㎞. 조수 간만의 차이에 따라 더 좁혀지기도 한다. 2일 경기 김포시 애기봉 관측소(OP)에서 바라본 북측 영토. 사진 해병대 하루 두 차례 온전히 모습을 드러내는 갯벌은 천연 방벽 역할을 한다. ‘뻘 흙’이 아군도, 북한군도 오갈 수 없게 만든다. 반대로 물이 일정 정도 차오르면 이곳은 ‘탈북 단골 루트’로 변한다. 개성시를 따라 서해로 흘러드는 예성강을 따라 귀순자들이 헤엄을 치다 걷다를 반복하며 남으로 넘어오곤 하기 때문이다. 2사단 예하 부대의(시사저널=김현지·정윤경·이태준 기자) 5월29일 경남 밀양시 부북면 일대 밀양 나노융합 국가산업단지 모습. 삼양식품 1·2 공장을 제외하고는 아무런 기업이 입주하지 않아 대다수 부지에 잡초가 무성했다. ⓒ 시사저널 최준필 한낮 최고기온이 29도까지 오른 5월29일.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에 있는 밀양나노융합 국가산업단지(이하 국가산단)는 햇볕이 내리쬐는 날씨와는 달리 썰렁한 분위기다. 기자가 지역민의 안내를 받고 밀양나노 국가산단 입구라는 지점에 내리자마자 보인 건 공터다. 전체 부지가 시야에 단번에 들어오지 않았지만, 어림잡아 서울 여의도공원의 두 배 이상은 돼 보였다. 수십 개의 업체가 들어설 수 있어 보인다. 그런데 입주한 곳은 삼양식품 1·2 공장이 전부다. 나노산업을 역점에 둔 국가산단의 이름이 무색한 듯하다. 건물을 세우기 전 부지를 다지는 공사가 덜 됐는지 공사 소리만 귓가에 맴돌았다.허허벌판을 방불케 하는 부지 옆으로 멀리 농지가 보였다. 국가산단과 농지 사이의 범위를 쉽사리 구분하기 어려웠다. 기업들이 입주해야 할 국가산단도 공터처럼 보인 게 이유다. 활기를 띠어야 할 국가산단이 농지와 다르지 않아 보인 것이다. 실제로 부지를 둘러보니 관리되지 않은 잡초가 무성했다. 두어 개의 빈 건물은 모두 공실 상태다. 시사저널과 현장취재를 동행한 전문가도 당황한 기색이었다. 김정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도시개혁센터 정책위원장(방재관리연구센터 연구실장)은 "언론 보도를 통해 3월 준공이라고 알고 왔는데, 실제 현장의 상황은 이와 다르다"고 했다.그나마 삼양식품 공장 근처로 가야 '사람 냄새'가 났다. 공장이 가동되는 듯 라면 향이 진동했다. 내부에선 라면 제조가 한창이었다. 공장 앞에서는 라면을 이송하는 차량, 40~50대로 보이는 직원 두어명이 보였다. 여기서 자동차로 6분 이동하니 국가산단 내 연구동이 보였다. 이곳에는 기업이나 연구소 대신 공공기관 두 곳만 있다. '경남테크노파크'와 '청년행복누림센터 건립사업'이라는 안내문이 눈에 띄었다. 인적은 드물었다. 기자가 이틀머무르는 동안 밀양나노 국가산단의 취지에 걸맞는 현장 분위기는 느낄 수 없었다. 지난 5월29